본문 바로가기
光一 51/エンタテイナーの条件

[도모토 코이치] 엔터테이너의 조건 #16 "멋있음"과 "리얼", 어느 쪽을 취할 것인가

by 자오딩 2016. 4. 19.

エンタテイナーの条件 * 엔터테이너의 조건

 

# 16

 


演者と演出と映像作品制作の狭間で“カッコよさ”と“リアル”、どっちをとるか

"멋있음"과 "리얼", 어느 쪽을 취할 것인가

 

 

 

  제가 영상 편집 작업에 참가하기 시작한 것은, KinKi Kids였는지 솔로였는지… 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어쨌든 콘서트 DVD를 낼 때였던 기분이 듭니다.

 

  계기는, 댄스 부분에 관한 이런 의문. “이런 안무를 추는데 어째서 (카메라가) 가까이 들어와서 그게 보이지 않는 것?”. 거기에 대해 제 나름의 의견을 전하거나 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가편집 된 것을 보여주셨을 때 지적을 하거나 보충을 하는 정도의 것이었습니다만.

 

  지금은 편집소에 오가면서 그것보다 전 단계부터 관계하고 있습니다. 현장에 가면 기재가 매년 진화하고 있는 것도 알게 되어서 재미있는. 얼마 전까지는 힘들었던 작업이 점점 간단하게 되니까 “그렇다면 이런 것도 가능하지 않겠어?” 같은 말을 하면서 작업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KinKi Kids의 콘서트 영상 제작에 관해서는 최근 몇 년은 아무 말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 있다면 말을 합니다만 거의 없네요. 왜인가 하면, KinKi의 콘서트는 제 자신이 연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를 이렇게 보여주고 싶었다”고 하는 생각은 연출한 사람에게 집약하는 편이 흔들림 없는 것이 가능한.


  다만 콘서트에서도 솔로명의의 것은 자신의 취미 취향이 농후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연출에 관해서도 제가 총책임자. 그래서 영상 작품으로 할 때도 세세하게 관여하고 있습니다.


  라이브를 여는데 있어서는 카메라 배치도를 사전에 보여달라고 해서, 어느 정도 그것들을 파악한 상태에서 임합니다. 그렇다고 해도 딱히 “이쪽에서 찍히고 있어”라고 의식을 하면서 퍼포먼스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에요ㅎㅎ 나중이 되어서 “아아, 나는 이런 각도, 이런 거리의 영상을 원했는데”라고 되지 않기 위해서 입니다. 그래서 배치가 신경 쓰일 때는 “이쪽에는 카메라 안 놔둬?” 라고 교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카메라의 대수로 말하자면, 솔로 콘서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아리나 회장의 경우 대체로 22~23대. 참고로 KinKi가 사용하는 도쿄돔이라면 30대를 넘습니다. 일반적인 돔 콘서트에 비교해서 그것이 많은지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스태프가 말하길 “2인조”로서는 절대 많은 듯 해요ㅎㅎ

 

 

 

■ “근거리 촬영” vs. “원거리 촬영

 


  편집 작업 과정에서는 스태프와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도 물론 생깁니다. “여기는 이렇게 해야만 해” “이야이야, 이러는 편이 절대 멋있다구” 라고.

 

  특히 매번 있는 일은 “근거리, 원거리” 를 둘러싼 싸움. 제 입장에서 말하자면, 스태프는 가까이 찍고 싶어해요, 우선적으로. 필요없다고 하는데도ㅎㅎ

 

  왜냐면 저는 댄스 퍼포먼스를 볼 때 춤추는 사람의 얼굴 클로즈업 같은 건 보고 싶지 않은. 그건 자기자신의 작품에 한하지 않고 누구의 스테이지에 대해서도 그러한. 그래서 객석에서 쌍안경을 사용하는 관객을 발견하면 “내 얼굴만 보는거 아니라고~!” 라고 생각하는 걸. 그래서 너무나도 쌍안경을 손에서 놓지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쫓아오지 못할 정도로 크게 움직여서 하겠어!” 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ㅎㅎㅎ

 

  저는 공간 전체로서의 “상자”를 단위로 만들고 있는 셈이기 때문에 과하게 가까이 오면 의도가 전혀 보이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극단적인 말투로 하자면, 수록은 원거리 정점 카메라 1대로도 좋은. 어떤 곡이든 장면이든 이쪽은 “전체상”으로 승부하고 있으니까 그걸로도 충분합니다.

 

 편집이라고 하는 작업은, 하려고 하면 얼마든지 멋있고 드라마틱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방식으로서 그다지 그런 것은 하고 싶지 않네요. 영상화 때는 “회장에서 보고 있는 감각으로 될 수 있는 편집”을 방침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DVD를 볼 때 “실제로 본 것과 상당히 인상 다르네?”라고 되는 것은 피하고 싶은. 아무리 작품으로서 멋있어도 이 생각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런 말을 하면, 애초에 영상 제작에 흥미가 있는 것 처럼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솔로 콘서트나 Endless SHOCK는 자신이 스테이지 작업부터 관여한 것이기 때문에 영상에도 고집을 부리는 것 뿐. 실제, PV나 다른 영상 작품에는 참견하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으니까 ㅎㅎ 열외로서, “댄스”의 PV라면 역시 “춤을 어떻게 보여주고 싶은지”라고 하는 문제가 생겨나기 때문에 편집에 입회합니다. (예. 앨범 Gravity 수록의 Danger Zone) 그 이외의 것에 관해서는 딱히… 네요. 취재에서 자주 물어보시는 질문에 “감독하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으십니까?” 라는 것이 있습니다만, 저, 그 쪽 재능은 없다고 자각 하고 있기 때문에 하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네요.

 

  제작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곡과 동시에 영상이 떠오르는 사람도 있는 것 같습니다만 저는 그것도 없습니다. 솔로 워크에 관해서는 스스로 곡을 쓰는 일도 많지만, 쓰면서 “이런 영상이 함께 있다면 멋지겠네” 라고 이미지를 부풀린다…고 하는 것은 없네요. 영상 제작에 관련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댄스가 메인인 경우만” 입니다.

 

 

 

■ 객석에서 들은 리얼한 소리를

 

 

  기술이 진화해서 영상 제작에서도 여러가지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만 직접 보는 것 보다도 나은 점을 꼽아본면, 저는 솔직히 하나도 찾을 수가 없네요. “어떻게든 편집, 가공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게 과연 이점인 걸까나?”라고 생각하는 쪽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돔과 같은 대회장이라면 좌석에 따라서는 소리의 시차가 생겨나거나 하네요. 하지만 그런 것도 라이브 회자에서 밖에 느낄 수 없는 라이브에서만의 재미라고 저는 생각해요.

 

  그렇기 때문에 라이브 DVD를 만들 때에는 그 부분의 사운드도 상당히 고집하는 포인트입니다. 콘서트에도 무대에도 공통되는 것입니다만, 라이브의 수록 떄에는 “오디언스 마이크”라고 하는 것이 있어서 라인으로 소리를 수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오디언스 마이크로 녹음한 객석 공간의 리얼한 소리를 트랙다운으로 믹스해갑니다. 그게 없으면 공간 감각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소리가 되어버리는. 소리가 너무 깨끗해서 “회장 이렇게나 넓은데 전혀 여운도 무엇도 없네” 라는 느낌이 되는거에요.

 

  그래서 회장의 환호성이나 리액션이라고 하는 것도 여러분이 상상하고 있는 이상으로 제대로 수록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을 생각하면서 DVD를 보는 사람은 적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라이브 DVD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부분. 그런 환성도 어디에 마이크를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음향이 완전히 바뀌어 오니까요.

 

  그렇게 해서 수록한 여러 가지 소리를 믹스하면서 토탈 리버브(잔향)감을 어느 정도 붙여갈 것인가? 라고 하는 것도 고민하는 부분. 너무 붙이면 왕왕거려서 시끄럽고, 전혀 붙이지 않으면 너무 깨끗해서 재미없어지는. 그 조절 작업을 하고 있으면 점점 알 수 없게 되어버릴 정도로 미묘한 것이지만 음악이라고 하는 것의 숙명이라고도 할까. “여기 부분, 이 리프를 1데시(=1데시벨) 만 올려줘” 라든가 “DVD를 산 사람은 분명 아무도 모를거야!”라고 하는 것을 거듭 하고있으니까ㅎㅎ 그래도 합니다. 그 부분은 뭐 감각과의 자문자답이네요.

 

 

(2014년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