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은 투어 전에 DVD 싱글과 앨범을 릴리즈 하셨네요. DVD 싱글은 처음입니다만 어째서 그런 형태로 하려고 하셨나요?
애초에 싱글이라고 하는 형태로 릴리즈할 마음은 제 안에는 없었어요. 앨범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네 라는 생각뿐이었기 때문에. 그래서 스태프가 "싱글도 내는 쪽이 좋지 않아?" 라고 물었을 때도 솔직히 맘이 안내켰었어요ㅎ. 하지만 그 뒤에 "코이치다운 영상과 함께라는 형식으로 해보면?" 이라는 아이디어를 받아서 그거라면 나답게 될지도.. 라는 점에서 스타트했네요.
─ DVD 싱글이라면 댄스라는 것을 추가하여 표현을 할 수 있구요.
맞아요. 싱글이란건 아무래도 캣치해야 된다는 제약이 나오지 않습니까. 그게 저로서는 난점이었던. 하지만 영상과 함께라면 그런 제약도 걷어낼 수 있기 때문에 할 맘이 생겼어요. 자 그럼 그 때 『INTERACTIONAL』과 『SHOW ME UR MONSTER』 를 고른 건 왜인가? 라고 물으려 하셨겠지만, 그건 제 특기인 "왠지 그냥 어쩌다보니" 에요ㅎ
─ 앗, 그렇습니까ㅎ. 하지만 엄청 타입이 다른 2곡이네요.
앨범으로 움직이고 있던 시점에서는 『INTERACTIONAL』 은 전체 중 1곡이려나, 정도의 느낌이었어요. 하지만 막상 레코딩을 해봤더니 제가 상상하던 것 이상으로 좋게 완성되었다고 하는 희소성있는 곡이 되었던ㅎ. 그렇다 하더라도 예를 들어 이 곡을 단순히 싱글로 낸다는 것이 되면 그래도 우웅~ 이라고 고민하게 될거라 생각하지만 영상도 함께라면 곡이 살아날테니 좋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 소울 테이스트의 어덜트한 넘버인 만큼, 댄스도 평소와는 또 다른 느낌이 되어있네요.
조금 소울이 들어간 곡이기 때문에 더더욱 평소와 같은 느낌으로 춤을 춰도 재미가 없을거라고 생각했어요. 이런 곡을 지금까지처럼 격렬하게 춤추는 것은 제 안에서도 저항이 강했던. 그래서 닛키상에게 상담하려 가서 아이디어를 받아서 『INTERACTIONAL』의 안무를 담당해주신 YOSHIE 상을 소개받았습니다.
─ 니시키오리상이 곡을 듣고 나서 YOSHIE상이 좋지 않을까하고 팟 떠올랐다는 것?
맞아요. 닛키상에게 상담을 했더니, 바로 저의 의도를 알아채셨어요. 그래서 여러 영상을 보면서 이런 안무가도, 이런 안무가도 있으니까 말야! 라며 말씀을 해주셔서. 닛키상에게는 이번뿐만 아니라 그 전부터 안무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왔네요.
─ 니시키오리상은 존경하는 선배시죠.
그래요. 저는 무엇보다도 우선 닛키상의 댄스를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그래서 예전부터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었던 것도 있어서 이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서 상담을 했어요. 닛키상은 고집하시는 부분도 강하기 때문에 안무가도 많이 알고 계세요. 그 중 한 명이 YOSHIE상으로, 본인도 세계적으로 활약 하고 있는 현역 퍼포머. 지금도 미국 콘테스트에서 우승을 해버리거나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소울뿐만 아니라 뭐든 출 수 있는 사람이에요. 하지만 이전에 닛키상이 소울계의 댄스를 보여주며 "이런 댄스를 너도 해나아가고 싶지 않니?" 라고 말씀을 해주셨던 것이 있어서요.
거기에 제가 "맞아요" 라고 대답을 했었기 때문에 아마 그런 의향도 닛키상이 YOSHIE 상에게 전달을 해준 것이라고 생각해요. 텔레비전에서는 YOSHIE상이 백으로 춤을 추고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것이고, 춤적으로도 프로 댄서나 춤 관계자가 보면 우왓- 멋있어! 춰보고 싶어! 라고 생각 할 만 타입이라고 생각하네요. 다만 지금은 엄청 격렬한 댄스가 유행을 하고 있는 시대이기 때문에 그런 가운에서 이런 댄스가 세간 일반적으로는 어떻게 비춰질까? 라는 면은 제 안에는 있지만요.
─ 최근엔 볼 기회가 없는 댄스이기 때문이야말로 그걸 제시해 나아가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싱글로서 매우 멋지기 때문에. 코이치상 자신도 신선한 "도모토 코이치"를 표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계시지 않나요?
그렇네요. 어느 쪽인가 한다면 DVD에 하나 더 들어있는 『SHOW ME UR MONSTER』 같은 빈틈 없이 세계관을 만들어서 이봐이봐! 라며 춤춘다고 하는것은 계속 해오고 있었으니까ㅎ 그러니까 DVD 싱글곡으로 『INTERACTIONAL』 을 골랐을 때도 맨 처음에는 조금 너무 차분할까나? 라고 스태프에게 물어봤었어요. 하지만 스태프도 곡에 대해서도, 춤에 대해서도 "이제 코이치도 36세니까 괜찮지 않곘어?" 라는 의견이었던ㅎ 그래서 하기로 했던거였습니다.
─ 그리고 그 DVD 싱글 뒤에 릴리즈 한 것이 『Gravity』 이래 약 3년만이 되는 『Spiral』. 『Gravity』 가 완성된 시점에서 또, 언젠가는 앨범을 내고 싶다고 하는 마음은 있었나요?
이야, 딱히 생각하지 않았네요ㅎ. 또 그 때가 오면... 정도ㅎㅎ. 이번에 관해서도 작년, "내년은 앨범을 내고 투어를 하는 형태로 해가죠" 라고 하는 이야기가 스태프로부터 나와서 움직였다고하는 느낌이기 때문에. 그래서 올해 들어와서 선곡을 하고 레코딩을 하고 라고 하는 상황으로 진행되었네요.
─ 이번에는 코이치상의 자작곡이 없습니다만 만드시는게 힘들었었나요? ㅎ
솔직히 말하면, 단순하게 귀찮았다는 것이 있네요ㅎ. 하지만 그 이상으로 제공곡 쪽이 즐겁다고 하는 것이 컸던. 누군가가 만들어준 여러가지 타입의 곡을 어떻게 노래할까? 어떻게 표현할까? 라며 스스로 연출해 가는 것이 즐겁습니다. 그래서 제공곡이라고 해도 점점 세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만 반대로 자작곡의 경우에는 세계가 고정되어버리고마는. 직접 만들었다고 하는 시점에서 이미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노래하는데 있어서도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듯한 고정 개념 같은 것이 생겨나는 거에요. 그게 제공곡이라고 하면 이런 곡의 세계에 나는 어떻게 물들어가면 될까? 라고 하는 즐거움이 있네요.
─ 자작곡이라고 하면 스스로 자신의 이미지에 속박당해버리고 마는거네요.
맞아요. 그게 지금 그다지 재미가 없고, 과연 그런 것이 작품으로서, 악곡으로서 좋은게 될까? 라고 생각해버리는. 그래서 지금의 저에게는 그게 좋은 것이라고는 생각이 안드네요. 그래서 지금은 자작곡은 됐으려나 라는 마음이 강하고, 제공곡에서 펼쳐지는 세계를 즐기고 있는거에요. 하지만 그 사이에 또 모두 저의 세계로 만드는 것이 즐거워지는 시기가 올지도 모르겠지만요.
─ 그 때는 자작곡의 세계도 펼쳐지겠네요. 거기에 제공곡 Only 라고 해도, 『INTEARCTIONAL』『SHOW ME UR MONSTER』 도 포함하여 전 16곡 수록. 그만큼 볼륨이 있다면 팬들도 기뻐할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실은 1곡 1곡이 짧아요. 4분을 넘는 것이 그다지 없는 건 제 경우, 해외 곡이 많습니다만, 그런 데모라는 건 이미 오케스트라 자케도 제대로 완성이 되어 있어서, 거기에다 아웃트로나 간주가 없는 것이 많아요. 다만 키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 곡의 경우는 다시 한 번 일본에서 어레인지를 다시 해서 오케스트라를 만들기 때문에 그 때 간주를 만들거나, 아웃트로를 만들거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키가 괜찮다고 하면 해외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그 대로 사용해버리는. 그 결과 짧은 곡이 되는거에요. 거기에 일본에서 어레인지를 다시 한 경우도 일본인은 성실하니까 "네, 간주입니다" 라든가 "네, 아웃트로입니다" 라고 확실히 만들어 와주십니다만, 제가 듣고서 "필요없네" 라고 생각하면 없애버리거나 하는. 그런 것도 있어서 전체적으로 짧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 있네요. 그리고는 곡 수에 대해서는 제작하고 있는 가운데 데모를 들으면서 이것도 좋네- 라고 생각하기 시작한 곡이 나오면 "해버리면 되잖아"라며 만들기 시작했더니 늘어나 버렸다고 하는 것도 있고ㅎ
─『Sprial』 은 첫 번째곡 『Fame』 부터 공격스러운 1장입니다만 처음부터 공격적인 작품으로 할 계획이었나요?
이야, 그것도 생각하지 않았어요. 골라보니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 것으로. 제 경우, 아무래도 몸을 움직이고 싶은 사람이라서 단순하게 말하면 곡을 듣고 "우왓- 춤추고 싶어!" 라고 생각하는 것을 골라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ㅎ 반대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곡은 1 코러스만 듣고서 날려버리니까요.ㅎ 저는 기본적으로 차분히 듣고서 아아 좋은 곡이구나~ 라며 고르질 않아요. 많이 있는 데모를 계속 들어가면서 왠지 모르게 자신 안에서 끌린다고 하는 것을 우선 픽업하는. 그리고 그걸 한 번 더 듣고, 더 축소해가는거에요. 차분히 듣고 이건 이런 곡이구나 라고 이해하는 것보다 좀더 감각적으로 고르고 있어요. 그렇게 듣고서 끌리는 것은 어딘가 제 마음이 춤추는 듯한 곡이었다는 것일까요.
─ 코이치상의 마음이 움직이는 듯한 곡을 골랐다는 의미에서도 감각을 중요시하는거네요.
그렇네요. 아까도 말했듯이 이번 제 자신이 만든 곡이 없다고하는 것에 관해서 팬 분들은 아쉬움이 있을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저는 생각하고 생각해서 하지 않으면 만들 수 없는 타입의 인간이네요. 그렇기 때문이야 말로 제공곡의 경우는 그것과 반대로 좀더 러프하게 하고 있습니다.
─ 그게 스스로 만드는 것과 다른 것이 나오는 재미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너무 감각에 의존하다보니 정말로 콘서트에 대한 건 전혀 생각하지 않고 앨범을 만들어버렸어요ㅎ. 그러니까 아쉽지만 이번 콘서트에서는 『Sprical』의 곡은 망라할 수 없었습니다ㅎ
─ 그렇군요! 셋트리스트에 들어가기엔 무리였던 것인가요?
콘서트 전체의 흐름이라든지를 생각한 경우, 이 곡을 넣는 건 어렵겠다든지 콘서트하고 맞지 않네 라고 하는 곡이 꽤 있어서ㅎ. 그리고 단순히 콘서트에서는 재현 불가능하다는 곡도 있어요. 그래서 그런 곡은 관상용으로서 받아들여주셨음 하는 느낌이네요ㅎ 재현 불가능한건 어쩔 수 없다고 하는 ㅎ
─ 확실히, 그건 어쩔 수 없네요ㅎ 그런 작품은 음원으로 차분히 들어주셨음 한다는 것으로 ㅎ
그렇네요 『The mAsque』 는 솔직히 평생 콘서트에서 하는 건 무리라고 생각하니까요ㅎ 하지만 이번엔 무리지만, 어쩌면 다음이 있다면 거기서 하고 싶다고 하는 곡도 있어요.
─ 덧붙여서, 어째서 『Sprial』 이라고 하는 타이틀로 하신건가요?
저는 타이틀이라는건 사실 어찌되도 상관 없어요. 이야, 물론 타이틀은 중요하지만 스스로 곡을 만들었다고 해도, 가사를 쓴다고 해도 거기에 타이틀을 붙이는 것은 그다지 특기가 아니여서. 제 안에서는 완성된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거기에 타이틀을 붙여버리면 왠지 거기에 갇혀버리기 쉽게 되는 것이 아무래도 좋아하질 않네요.
─ 확실히, 타이틀에서 받는 이미지라는게 있으니까요.
맞아요요. 그렇기 때문에 더 중요합니다만, 제가 잘하는 부분은 아니에요. 그래서 스태프에게 아이디어를 받았습니다만 맨처음에 나온 것이 『Phenomenon』 이었던가? 조금 풀어내기가 어려웠어요. 일반적으로 익숙하지 않으니까. 그래서 또 생각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Spiral』이었네요.
『Spiral』이라면 소용돌이처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아래로도 가서 깊에 빠져든다고 하는느낌이 있는. 그래서 그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듯한 감각도 있기 때문에 좋지 않을까나 하고 생각했네요. 『Spiral』 이라고 하는 단어 자체, 일본인에게도 알기 쉽고 말이죠.
─ 그렇게 듣고 보니 『mirror』『BPM』 『Gravity』 어느 것도 알기 쉽네요.
그런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해요. 마이클 잭슨도 그렇잖아요? 그게 『THIS IS IT』 도 말이에요. 세상 모든 사람이 알지 않습니까. 괜히 과하게 멋을 부리지 않아요. 너무 폼을 잡지 않는 타이틀 쪽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이미지화 가능하니까요.
─ 그렇네요. 정말로 말씀그대로네요.
거기에 저는 예전부터 말했듯이 음악적으로 마음이 춤추거나 그런 곡의 세계에 흠뻑 빠지는, 빠져들어가는 듯한 타입의 곡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도 맞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네요.
─ 실제로 이 앨범을 듣고있으면 도모토 코이치가 만들어 내는 소리의 세계에 빨려들어간다고 하는 감각이 있기 때문에 『Spiral』은 그걸 표현한 타이들이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번 투어는 그 앨범을 내건 것이 됩니다만 재현 할 수 없는 곡은 제외하고ㅎ 전체적으로는 어떤 컨샙으로 하실 예정인가요?
솔직이 이런걸 말하는 것도 어떨까 싶습니다만 『Gravity』 콘서트는 제 스스로도 잘 완성된 콘서트였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 그렇습니다. 완성도가 높았지요. 쟈니 사장도 「빈틈이 없네」 라고 칭찬하실 정도 였으니까.
맞아요. 그래서 그걸 뛰어넘는 것은 상당히 어렵겠구나 하는 마음이 제 안에서도 있어서.. 물론 그 때의 베스트를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거기에 플러스로 역시 저 번 것을 뛰어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프레셔를 자기 자신에게 주면서 저는 항상 만들고 있기 때문에. 다만 『Gravity』 에 관해서는 그걸 뛰어넘는 것은 힘들겠구나 라고 생각하는 자신도 있어서. 그래서 이번은 이미 그건 생각하지도 않고 있어요. 『Gravity』 는 『Gravity』.
이번은 『Spiral』 이라고 하는 앨범을 중심으로해서 거기에 지금의 자신을 비춰가며 표현을 했더니 이런 것이 되었습니다 라고 하는 것을 만들면 되는거야! 라고 태도를 급 바꾼 것이 현상태입니다 ㅎㅎ
─ 하지만 그렇게 말해도 그건 코이치상이기 때문에 볼만한 가치가 있는 콘서트가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늘 말하듯이 제 콘서트는 조명에 상당히 고집을 부려 만들고 있네요. 그래서 평소라면 우선 무대 셋트를 생각하고, 그 완성된 셋트에 어떻게 조명을 만들어갈까 라고 하는 흐름입니다만, 뭐 이번에는 셋트와 조명을 일체화 시켜버리자라고 하는 이야기가 되어있어서요. 그 쪽이 저답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만ㅎ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 같은 것의 부품을 하나씩 분리해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기술이 향상되어 그게 하나의 부품으로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렇게 되면 기능도 올라가고, 효율도 올라가는거에요. 그것 처럼 셋트와 조명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시켜 생각해 가는 것으로 인해 모든 것이 지금까지 이상으로 융합되어 가는거에요. 뭐 그렇다고 해도 보는 측의 인상은 그렇게 까지 별로 바뀌지 않을거라고 생각하지만요ㅎ 그것과, 의상에 관해서도 이번은 조금 심플하게 해갈까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지금까지는 비단을 쓰는 방향으로 계속 해왔습니다만ㅎㅎ 『INTERACTIONAL』 이라고 하는 곡을 봐도 알 수 있듯이, 나이와 함께 심플한 방향성으로 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나 하고 생각했으니까요. 하지만 뭐가 정답인지는 모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이번은, 그렇지만요.
─ 전체적으로 어덜트한 분위기가 된다는 것인가요?
그렇네요. 그렇지 않을까나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댄스에 관해서도 이번 『INTERACTIONAL』 에서 새로운 것에 채린지 하셨네요. 그런 퍼포먼스를 끌어내는 것을 늘려가자고 하는 것은 생각하고 계신가요?
이야, 딱히 굳이 이것저것 하려고 생각하고 있는건 아니에요. 『INTERACTIONAL』 도 단순히 지금 자기가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을 한 것 뿐이어서. 『뮤직 스테이션』 에서 켄토 모리상과 함께 출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만 그걸 기회로 『SHOCK!』 라고 하는 곡의 안무를 그에게 의뢰했어요. 그 곡은 엄청 마이클 잭슨스럽기 때문에ㅎ. 그걸 켄토 모리상에게 부탁드리면 매우 재밌게 되지 않을까하고 생각했으니까.
─ 그렇네요.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두근두근합니다.
다만 저는 마이클 잭슨을 매우 리스펙스하고 있고, 제 안에서 그는 너무 신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춤적으로 따라하려는 것은 아니에요. 그래서 『뮤직 스테이션』 에서 마이클의 곡을 켄토 모리상과 콜라보레이션 하는 것이 되었을 때도 망설였던게 있었어요. 저는 마이클은 될 수 없다고 생각해온 사람이라 그렇기 때문에 더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표현 해가자고 생각하며 해오고 있기 때문에. 그래서 하는 것 자체를 엄청 고민하다가 트래비스 (페인) 에게 메일을 했어요. 그랬더니 트래비스가 "코이치가 마이클을 존경하는 것은 잘 알고 있어. 그렇기에 코이치는 코이치의 표현을 하고 켄토 모리와 융합하면 되는거야" 라고 말해줘서 엄청 안심을 했네요.
─ 켄토 모리상은 바로 마이클 잭슨의 『THIS IS IT』 콘서트의 오디션에 합격하고 마돈나 콘서트에서는 마이클 잭슨에 대한 추모 댄스도 췄던 분. 하지만 그런 분께 안무를 의뢰했다고 해서 『SHOCK!』 가 특별히 마이클 테이스트를 의식한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는 것인가요?
지금 단계에서는 그건 아직뭐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다만 곡이 곡인만큼 그런 부분이 들어있어도 괜찮으려나 하고 생각하고 있지만요. 하지만 설령 마이클 스러운 안무가 되었다고 해도 저는 역시 저답게 춤추게 될거라고 생각해요.
─ 그렇다해도 켄토 모리상이 참여하는 것으로 인해 코이치상의 안무진이 더더욱 호화롭게 되었네요.
맞아요. 『Danger Zone~to the unknwon world~』 도 물론 하기 때문에 이 곡은 트래비스와 스테이시 워커가 안무를 해줬고, 『INTERACTIONAL』을 해준 YOSHIE상도 한 곡 더 안무를 해주실 예정. 거기에 『Endless SHOCK』나 지금까지의 투어에도 나오고 있는 아카사키 마리상에게도 1곡 부탁할 예정이고, 『Gravity』 때 부터 함께 해오면서 『Come Closer』 의 안무를 담당해준 IPPEI 나 항상 함께 해주는 Shin.1 도 있는. 거기에 켄토 모리상도 더해지는거니까 안무진으로서는 엄청나게 호화인거네요. 그런 의미에서도 매우 재미있을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제 안의 원칙으로서, 누가 안무를 하든 어떤 장르가 되었든, 저로서의 표현 방법이라고 하는 것은 무너뜨리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는. 그럼, 도모토 코이치의 개성은 뭔가? 라고 생각해보면 그건 쓸데 없는 것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이번도 그런 것은 중요시하고 싶은 포인가 되어있네요.
─ 코이치상의 활동 가운데는 KinKi Kids, 『Endless SHOCK』 그리고 솔로 앨범이나 투어라고 하는 것이 큰 축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각각에 임하는 자세에는 차이가 있나요?
이야, 없네요. 딱히 나눠서 생각하고 있지 않으니까. KinKi Kids이든, 무대이든, 솔로이든 저는 저. 그렇다면 그걸 무리하게 차별화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다만 솔로에 관해서는 타이밍이라고 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언제나 말하듯이 다음 언제 할 지는 약속은 할 수 없는. 기분 내키는 대로 하게 해주셨으면 합니다. ㅎㅎ
─ 그러면 콘서트에 발걸음을 옮겨주신 여러분에게 언제나와 같은 한 말씀을 ㅎ
그렇네요, 자유롭게 즐겨주세요ㅎ 그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光一 5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모토 코이치] 크림소다 독약♪ (5분으로 알 수 있는 Endless SHOCK) (2) | 2015.08.16 |
---|---|
[도모토 코이치] `06~`15 솔로콘 일정 (Mirror/BPM/Gravity/Spiral) (0) | 2015.08.16 |
[도모토 코이치] 2015 Spiral 투어 팜플렛 (0) | 2015.08.09 |
[도모토 코이치] 8/7 오리★스타 미리보기 (4) | 2015.08.07 |
[도모토 코이치] 150803 Spiral 투어 요코하마 WS + 신문기사 (0) | 2015.08.03 |